Eunsun Lee : Resonance

2017. 06. 22 - 2017. 08. 12
Eunsun Lee : Resonance

Disorientation
Depleted Strength
Performing the Moment
The Inconclusive Tug-of-War
Dissonance

My intention is that of capturing the distance between others and myself, the space generated by relationships, and the time that dissipates from between remembrance and oblivion. Through the forms I come upon when focusing on the actions of people, I offer a small food for thought regarding the everyday life and relationships.
- From the Artist’s Statement

Eunsun Lee who majored in New Media spanning the areas of sculpture, film, and video, produces works in various mediums of photography, painting, and installation both in and out of galleries and at diverse spaces, as well as holding outdoor projects. The motif for Lee’s work is “people,” exploring the points where people come together to forge relationships and the subsequently formed images of those unions.

Lee’s contemplations about “relationships” depart from the idea that people with no common denominators are brought together by way of a single medium. Among the many options out there, the artist opts to observe and visualize the making and developing of relationships through the medium of Territory Conquest, a childhood game not only familiar to her but to most Koreans growing up. The game involves players marking at spots of their choosing numerous dots in a given set area, then in the order of play, take turns drawing a line connecting two dots. When a line drawn closes an area into a triangle, the player who drew that line “conquers” the triangular area. The shape and size of the area each player comes to conquer or own is entirely unpredictable, much like the unforeseeable and erratic nature of relationships between people. To the artist, the visual process of the way Territory Conquest plays out comes across as being quite poetic, the randomly peppered dots and the lines connecting them reading to her like a rhythmical verse. While each area of the carelessly scattered dots appear to have been divided exhaustively, the newly emerging territories conversely at the same time seem to fall into a process of being forged into a massive aggregation. Those formative elements created via viewer participation, the dots, lines, surfaces and even the colorful disarray, come to represent a symbol of human relationships to the artist, spelled out through the medium of a “game”.

Her work, centered on investigating the formative beauty found in symbolic representation of relationships, had its beginnings in canvas paintings starting back in 2009 and evolved into such works whose scales elastically adapted to the given work space, Nanji-scape (2012) being one, where the artist taped along the lines on the ground and painted the resulting pattern on the wall, as well as the large-scaled murals Kemb (2013) and De (2014) that span 8 meters and 13 meters wide respectively. Being drawn to the shapes, and their infinitely changeable nature, that result when people get involved, Lee becomes intrigued with images recreated through paper origami. In Paper blossoms (2013) Lee folds paper into flowers, like a rose or a lily, then unfolds them to photograph the creased paper, an image that holds the remnants over time, as it leaves its mark on paper. By undoing what was shaped to be a flower, she is able to capture a side that is otherwise not visible, witnessing each resulting line, surface, and shade-dependent colors of the undone paper. Running along the same line are Card (2014) and Letter (2014), this time utilizing Korea’s most commonly used paper size A4, folding it into the shape of a card or a letter. By shining different sources of light on the unfolded card or letter and filming the culminating color variants, the works attempt to use a new kind of language to convey relationships between people and those obscure inner emotions that words are unable to express in neither letters nor cards.

Lee has continued her work in visualizing and exploring various elements of “relationships” that have no physical appearance, and this time illuminates them through multisensory installations in her new solo exhibition, Resonance. Together with the gallery staff the artist replicates on the exhibition floor, the design of the Territory Conquest game played out on the gallery floor plan. Colorful triangles marking individual territory fill the floor, and hanging above the apexes of these geometrical shapes are long cylindrical pillars covered with acrylic mirrors. The colorful faces of the floor are projected on to the hanging surfaces, the eye-level pillars reflecting the vibrantly hued ground to confuse lookers of the depth perspective. The light and shadows reflecting downward in all angles from the hanging pillars are distractive enough to blur both the boundaries marked by the triangles and the viewing perspectives of the participants. Immersed in the tinkling of bells ringing all around, viewers walking into the piece are given a visual and auditory experience that extend well beyond the usual categories. Viewers become one with the grand landscape, their walk through the pillars physically adding waves while they gaze at the constantly wavering images.

Lee has been bringing to canvas and mural surfaces what she believes to be the symbolic images of forging relationships, adhering to a predetermined design and using a logical formative language that include dots, lines, and surfaces. For this exhibition, her focus is on the emotions and hesitations as they relate to how variables push relationships towards unexpected directions and prevent them from being considered a form of a logical communication system. Rather than being seen as an unmovable image, the artist compares it all to the phenomenon of resonance, where one form of energy meets another corresponding one, to radiate out an even larger force. The artist’s fresh attempt in symbolizing relationships brings us to the visual scene of where we can experience the building energy beneath the surface that eventually explodes beyond familiar boundaries.

Disorientation
소실된 힘
상황 연주
결론 없는 줄다리기
불협화음

나와 타인과의 거리, 관계가 만들어내는 공간, 기억과 망각 사이에서 흩어지는 시간들을 포착하고자 한다. 사람이 만들어내는 행위들의 과정에 집중하고 그 안에서 발견할 수 있는 형태들을 통해 일상과 관계에 대한 작은 사유를 권한다.
- 작가 노트에서 발췌

이은선은 조소와 필름 및 영상을 아우르는 뉴미디어를 전공했으며 사진, 회화, 설치 등 다양한 매체로 야외 프로젝트를 비롯해 전시장 안팎을 넘나들며 다양한 공간에서 작업을 선보여 왔다. 이은선에게 작업의 모티브는 ‘사람’이며 사람들간에 관계가 맺어지는 접점과 이로 인해 파생되는 이미지들을 탐구한다.

‘관계’에 대한 작가의 고찰은 아무 상관없는 사람들이 하나의 매개체를 통해 관계가 형성된다는 점에서 출발한다. 이은선은 우리가 접하는 다양한 매개체 가운데 자신에게 친숙하고도 어린 시절 누구나 한번쯤 해보았던 “땅따먹기” 놀이를 통해 관계가 맺어지고 발전되는 양상을 관찰해 이를 시각화시킨다. 이 게임은 각자가 원하는 지점에 점을 찍고 점과 점 사이를 순번대로 직선을 긋다가 마지막으로 이어진 직선에 의해 삼각형이 완성되면 그 직선을 그은 순번의 사람이 삼각형 영역의 소유자가 되는 놀이다. 각자가 소유하는 영역의 너비와 형태는 예측 불가능하며, 이는 한 치 앞을 내다볼 수 없는 사람과의 관계와도 닮아 있다. 땅따먹기 놀이가 진행되는 시각적인 과정은 작가에게 매우 시적(詩的)으로 다가왔는데, 불특정적으로 흩어져 있는 점들의 덩어리와 이들을 잇는 개개의 직선들이 마치 운율이 있는 시(詩)와 같이 읽혀졌기 때문이다. 무심하게 찍힌 점들 간에 형성된 개개의 영역은 더 이상 나눌 수 없을 만큼 분할되는 데 반해 무수히 생겨난 수많은 영역들이 하나의 거대한 군집을 이루어가는 과정을 동시에 보여준다. 사람들의 참여, 이로 인해 생겨난 점, 선, 면 그리고 불규칙한 색의 배열을 비롯한 모든 조형적 요소는 작가에게 ‘게임’이라는 매개체로 형성된 사람간의 관계를 보여주는 표상이 된다. 관계의 표상이 주는 조형적인 아름다움을 탐구하는 이은선의 작업은 2009년 캔버스 회화에서 시작하여 바닥에 땅의 라인을 따라 테이프를 붙이고 벽에 해당 영역을 페인팅 한 (2012) 그리고 각각 8미터, 13미터 폭에 이르는 벽화 (2013)와 (2014)에 이르기까지 공간에 따라 스케일이 유연하게 전개되었다. 사람들이 개입해 만들어지는 형태와 그 변화무쌍함에 주목한 작가는 종이 접기 행위로 재현되는 이미지들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2013) 시리즈는 장미, 백합 등 특정 꽃의 형태로 종이를 접었다 편 후에 생긴 자국을 사진 찍은 것으로, 시간의 추이에 따라 생긴 흔적의 이미지다. 작가는 ‘꽃’이라는 외형이 완성되기 위해 접혀 있던 종이를 다시 펼쳐 각 선과 면의 모양 그리고 명암에 따른 미묘한 색감을 포착함으로써 눈에 보이지 않았던 내면의 모습을 담아낸다. 동일한 맥락에 있는 작품, (2014), (2014)는 가장 많이 쓰는 A4 종이를 카드와 편지의 형식으로 접은 후 펼쳐 서로 다른 광원을 동시에 비추어 색조의 차이를 촬영한 이미지로, 서신에서 말과 단어로 표현할 수 없는 사람간의 관계와 내면의 미묘한 감정을 전달하는 언어로 접근한 작품이다.

이와 같이 물리적 외형이 없는 ‘관계’의 여러 속성들을 시각화하고 탐색해 온 작가는 이번 개인전 “공명(共鳴)”에서 공감각적인 설치 작업으로 이를 조명한다. 작가는 갤러리 관계자들과 함께 전시장 도면으로 땅따먹기 게임을 한 도안을 실제 바닥에 옮겨온다. 도안을 따라 각자의 영역을 표시하는 형형색색의 삼각형 꼭지점 위에 거울 아크릴로 마감된 기둥이 천정에서 매달린다. 바닥에 깔린 색 면은 기둥 면면에 투영되어 바닥 풍경이 관람객의 눈높이에 있는 기둥에서도 보여짐으로써 풍경의 원근감이 모호해진다. 기둥에서 다각도로 반사되는 빛과 그림자는 바닥에 여러 개의 삼각형으로 구분한 경계와 관람객 시선 모두를 분산시킨다. 작품에 들어선 관람객은 곳곳에서 우발적으로 울리는 종소리와 조우하며 시각과 청각 모두 통상적인 범주 너머로 확장되는 체험을 하게 된다. 기둥 사이로 오가는 관람객은 끊임없이 넘실거리는 이미지를 조망하는 한편, 그 안에서 물리적인 역동을 일으키며 풍경의 일부가 된다.

이은선은 관계 맺음의 표상을 캔버스, 벽화 등의 평면에서 정해진 규칙의 도안에 의거해 점, 선, 면과 같은 논리 정연한 조형 언어로 구축해왔다. 작가는 이번 전시에서 관계가 수많은 변수에 의해 예기치 못한 방향으로 전개되고 논리 정연한 소통체계로 치환될 수 없는 감정과 주저함이 있음을 주목한다. 이러한 영역은 고정된 이미지로 재현되기 보다 하나의 에너지에 상응하는 또 다른 에너지가 서로 만나 보다 큰 에너지를 발하는 공명(共鳴)의 현상으로 비유된다. 관계를 나타내는 작가의 새로운 표상은 수면 아래 에너지가 점차 증폭되고 경계를 넘어 확산되는 상황들이 가시화되고 경험되는 현장이 된다. 

Works

Installation View

Publication Purchase Inquiry

Publication Name
Eunsun Lee : Resonance
Quantity
Your Name
Phone Numb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