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men, Abstraction, Experiment : HyangMi Lee, ChungJi Lee, MyungMi Lee

2023. 08. 24 - 2023. 10. 14
Women, Abstraction, Experiment : HyangMi Lee, ChungJi Lee, MyungMi Lee

The abstract of today is no longer radical. Influential art historians of the West consider abstract painting to have been the pivotal element in the development of Modernism. They all agree that painting was the medium that led the way for the movement; without a doubt, abstract painting was at its peak, reveling in its splendor. Such exaltation of the art form before and after this point was met with opposing opinions by the 1980s when many declared abstract painting dead or on the brink of it. However, it is essential to note that such retrospection and examination by the critics concerned the works of male artists that made up the majority. Even today - more than half a century after the declaration of the death of painting – studies and art historical writings on women abstract painters are still in a meager state. It may be time to re-evaluate the abstract painter list and the genre description long since set by mainstream art history. Merely stating the existence of female counterparts to the male artists of the time will not suffice. Still, an in-depth study into not only women but minority artists in general excluded by the closed-minded art history is in order, and through the re-contextualization of each of their respective accomplishments and influencing relationships, the Korean contemporary art history should be understood through far more diversified branches of analysis.

Being aware of the utter lack of surveys regarding Korean women abstract artists, PIBI Gallery proudly presents a three-person exhibition of Lee Chung-Ji, Lee Hyang-Mi, and Lee Myung-Mi. The exhibition will feature pieces that well-represent their respective styles selected from when all three artists were active between the 1970s and 1990s. Even though the trio vigorously released work and each pursued their paths while participating in collective activities during the 1970s and 1980s, art historical studies that critically analyze their accomplishments while discussing their limitations and significance are almost nonexistent. The era was challenging for women to succeed as artists, but that did not impede the three from fervently participating in diverse experimentation and challenges while successfully forging their respective artistic worlds without losing sight of mainstream art trends. Lee Chung-Ji strived to establish an identity as a female artist, while Lee Hyang-Mi valued individual legitimacy, and Lee Myung-Mi pursued paintings devoted to intuition and sensation rather than ideology or theory. They were all about constructing their respective individuality and selfhood rather than the ideas of zeitgeist or homogeneity. Lee Myung-Mi, who is, to this day, actively producing work, demonstrates how an adamant determination on identity can lead to contemporariness. History can have meaning not when you let it slip away into the past but only when you continuously reposition it to the present. For such reasons, the works of these three remarkable women deserve to be revisited, briefly delineated as shown below.

Lee Chung-Ji (1941 – 2021) entered Hongik University as a Western painting major in 1963 and studied there until she acquired her B.A. in 1968. At the time, many young artists were against the art community that existed around the National Art Exhibi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and began a movement supporting art informel as an alternative. Lee Chung-Ji was also largely influenced by this pictorial trend as she grew and produced work as an artist until the mid-1970s, after which point she made a shift in the latter part of the 70s doing monochromes in brown schemes. Later, Lee created full grey-brown canvases with repetitive action exhibiting physical and tactile characteristics. While there was a change in style in the 1990s with the adoption of calligraphy, she continued doing monochromatic works her entire life. As the founding member of the Korean Woman Artist Association, Lee endeavored to build a system for women to work as artists and set the foundation for feminism. She was more focused on securing ways for female artists to enter the art world and forging her own realm than becoming involved in the politics of male artists. Her gigantic canvases full of incredible materiality and gestures are all-over paintings, a style usually thought to be reserved for male artists. They exude immense strength, compelling enough to overpower any male artist’s works and impress viewers.

Lee Hyang-Mi (1946 – 2007) is known for her drip technique works and exploration into “color as an objét” and spatiality. She graduated from Hongik University as a Western painting major in 1971, after which she submitted works for the Founding Exhibition of the Korean Woman Artist Association (1973, Shinsaegae Gallery) and Exposé (1973, Daegu Department Store). Later, she also steadily participated in experimental group shows of young artists in Seoul, Daegu, and more. She founded the experimental art group “35/128” in 1975 with her colleagues in her hometown of Daegu, where she engaged in exploratory opportunities going against convention and actively created works with a repetitive dripping style to move away from existing painting formats. Her first solo exhibition was held in 1981 at the MAKI Gallery, Tokyo, a show she held for self-legitimizing her ten-plus years as an artist. By this time, she had already been substantially evaluated by the art world for “color itself,” her unique painting style created by dripping paint on canvas. She gave the term “heulim,” which means dripping, to describe liberally visualizing things of daily life , which quickly became the core visual language that symbolizes her artistic world. “Color itself” was “the fruit of her avant-garde labor visualized through the paint freely trickling down. Thus, color as a material combined with chance and intention becomes more than just itself, but an objét of hue.” She strived to make her own formative language using color without becoming included in any mainstream trends of the time, like informalism, op art, and geometrical abstract paintings. Lee Hyung-Mi appeared to handle her canvas more autonomously from her fifth solo exhibition (1988) following her study abroad. However, the lack of surviving works makes it difficult to assess how her styles changed beyond that point.

Since graduating from Hongik University as a Western painting major, Lee Myungmi (b. 1950) has been actively and closely involved in the frontline as an artist from the early 1970s, participating in Salon des Indépendants (1972 – 1979, the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MMCA)), Seoul Contemporary Art Festival (1974 – 1981, MMCA), Experimental Artist Exhibition (1974, Daegu Department Store Gallery), and more. Lee was the founding member and the youngest female artist participating in the Daegu Contemporary Art Festival (1974). Riding the monochromatic waves that dominated the painting scene, Lee initially focused on monochrome conceptual works, assemblages, and diverse experimental pieces. But by the mid-1970s, she grew distant from the tendency to accentuate logic or ideas and instead began boldly filling her canvas with buoyant elements of primary colors, dots, lines, and shapes in tune with her senses and intuition. Titling both her first solo exhibition and work Play, Game (1977, Geurorichi Gallery) was intentional, words that, to this day, illuminate the core of her work. The Korean painting scene of the early and mid-1970s, when Lee Myung-Mi began her career, was dominated by monochrome works that attributed ideological meaning, such as the Korean spirit, onto neutral-colored canvases that restrained from color and form. The artist wanted to avoid over-conceptualizing her painting and instead produced fluidly structured pieces using solid primary hues and symbols of simple dots, lines, numbers, and shapes. Ultimately, she acquired the contemporary trend with her innocently playful and clear-cut images, her sharp yet uninhibited strokes playing their part in conveying introspection and humor within simplicity.


Lee Sung Hwi(HITE FOUNDATION Curator/Art Critic)

오늘날 추상은 더이상 전위적이지 않다. 서구의 유력한 미술사가들은 추상회화야말로 모더니즘 기획 전체였다고 말한다. 그들은 입을 모아 모더니즘을 주도한 매체가 회화였고 그 절정을 누린 것이 추상회화라고 못박았다. 전후 추상회화의 영웅화는 1980년대에 이르자 추상회화가 죽었다거나 빈사 상태라고 하는 선언으로 반전되었는데 사실 추상회화의 화려한 시절에 대한 비평가들의 회고와 반성은 주류 남성 추상작가들의 회화에 대한 것이다. 회화가 죽었다고 하는 선언이 나온지 반세기가 지난 현재에도 여전히 여성 추상작가들에 대한 연구와 미술사 기술은 빈약한 실정이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이제는 주류 미술사가 고착시켜 놓은 추상미술작가 군단을 재검토하고 다각적인 시점에서 미술사 서술에 대한 논의를 새로이 할 때다. 이는 단지 그 시절에 남성작가들의 동료로서 여성작가들이 있었다는 것을 확인하자는 것이 아니라, 비단 여성작가들뿐만 아니라 편협한 미술사가 비주류로 소외시킨 여타의 작가들에 대해서 심도 있는 연구와 개별적인 성취 및 영향 관계의 재맥락화를 통해서 한국현대미술사가 더 많은 갈래의 분석으로 이해되어야 함을 바라는 것이다.

한국 여성추상화가에 대한 연구가 매우 미진한 상황을 인식하면서 피비갤러리는 이정지, 이향미, 이명미의 삼인전을 개최한다. 피비갤러리는 세 작가들이 왕성하게 활동한 시기인 1970-90년대의 작품들 중에서 작업의 면모를 파악할 수 있는 대표작들로 출품작을 엄선하였다. 이들은 1970-80년대 미술현장에서 매우 활발하게 작업하며 집단적 미술활동뿐만 아니라 독자적 모색을 추구한 여성작가들이지만, 현재까지 이들의 화업을 비판적인 관점에서 면밀하게 분석하고 한계 및 의의를 제시한 미술사적인 연구는 손에 꼽을 정도로 귀한 상황이다. 이정지, 이향미, 이명미는 1970-80년대 여성 작가들이 활발히 활동하기에 척박한 조건 속에서도 다양한 실험과 도전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였으며, 주류 미술계의 흐름을 놓치지 않으려고 하면서도 독자적인 작업세계 구축에 천착한 작가들이다. 이정지는 여성작가로서 독자성을 추구하였고, 이향미는 개인의 정당성이 중요한 작가였다. 이명미는 관념이나 이론보다는 직관과 감각에 충실한 회화를 추구했다. 이들은 모두 시대 정신이나 동질성이 아니라 개별성과 독자성을 구축하고자 한 것이다. 그리고 현재까지 활발하게 활동을 이어오고 있는 이명미는 독자성에 대한 고집이 어떻게 동시대성으로 이어지는지 잘 보여준다. 역사는 과거로 흘려보내는 것이 아니라 끊임없이 현재에서 재위치시켜야만 의미가 있는 것이다. 이정지, 이향미, 이명미의 작품을 다시 읽기가 필요한 이유다. 이들의 화업을 간단히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이정지(1941-2021)는 1963년에 홍익대 서양화과 학부과정으로 입학하여 1968년에 동대학원 석사과정까지 마쳤다. 당시 상당수의 젊은 예술가들이 국전을 중심으로 하는 기성 화단에 대한 반감을 가지고 있었고 이에 대한 새로운 대안적 예술로 앵포르멜 미술을 지지하는 움직임이 일어났는데, 이정지 역시 앵포르멜 미술에 영향을 받으며 예술가로 성장했다. 그는 1970년대 중반까지 앵포르멜 미술의 영향하에 있는 작품들을 발표하다가 1970년대 후반 갈색 계통의 단색조 그림을 그리면서 단색화 작업으로 변화하였다. 이후 반복행위가 주를 이루는 신체성, 촉각적 특징이 두드러지는 작업으로 화면 전체가 회갈색으로 표현된 작업을 제작했다. 1990년대 들어서 서예쓰기를 도입한 양식으로 변화를 꾀하기도 하면서 평생 단색화 계열 작업들로 화업을 지속하였다. 이정지는 ‘한국여류화가회’ 창립멤버로서 여성작가의 활동을 위한 체계와 여성주의의 이론적 기틀을 만드는데 힘을 보태고자 하였는데, 이정지가 남성작가들의 정치학보다는 여성작가들의 미술계 진출을 모색하는 일과 자신의 독자적 영역을 만드는데 몰두했다는 점은 중요하다. 그의 작품은 누구 못지 않게 강한 힘을 보여주는 전면성의 회화이기도 하다. 거대한 캔버스를 물성과 제스처로 가득 채우고 정면성을 강조한 회화는 남성 작가의 전유물로 받아들여지곤 했지만 이정지의 회화는 그들과 나란히 할 수 있는 이미지의 압도감을 가지고 있고 화면 그 자체로서 강한 물성과 제스처로 우리를 압도한다.

이향미(1948-2007)는 흘림 기법을 활용한 회화 작업을 선보이며 ‘색채가 지닌 오브제성’과 공간성을 탐구하였다. 1971년 홍익대 서양화과를 졸업하고 《한국여류화가회 창립전》(신세계화랑, 1973)에 참여했으며 《엑스포제》(대구백화점 화랑, 1973)에 <흘림>(1973)이라는 작품을 출품하였다. 이후 서울, 대구 등지에서 열리는 젊은 작가들의 실험적인 단체전에 꾸준히 참여하였다. 그는 고향 대구에서 동료들과 실험미술 단체 ‘35/128’을 창립하여(1975) 지역 기반 활동도 활발하게 이어나갔다. 이들은 기존의 관습에 저항하는 실험적인 작업을 선보이고자 하였고, 이향미도 본격적으로 반복적인 흘림을 통해 기성 회화에서 벗어나고자 했다. 이향미는 첫 개인전을 1981년에 도쿄 마키화랑에서 개최했는데 이때는 <색 자체>에 대한 미술계의 평가를 어느 정도 받은 시점으로, 작가는 10여 간의 활동에 대한 ‘개인의 정당성’ 을 위해 전시를 개최하였다. 이향미의 <색 자체>는 캔버스에 물감을 흘리는 행위를 통해 제작된다. 작가는 일상의 것을 자유롭게 시각화시킬 수 있는 것을 ‘흘림’이라고 일컬었는데, 이는 곧 작가의 작품 세계를 상징하는 핵심적인 시각언어가 되었다. <색 자체>는 ”자유롭게 흘러가는 물감을 통해 작가가 시각화하고자 했던 전위 실현의 결과였으며 이로써 재료 차원의 색이 우연과 의도로 인해 겹치며 단순한 색을 넘어 하나의 색채 오브제로 치환되는 셈이다.” 그는 당대 주류의 흐름이던 앵포르멜, 옵아트, 기하학적 추상회화 중 어디에도 속하지 않으면서도 색채를 통해 스스로의 조형 언어를 만들고자 하였다. 유학 후 개최한 제5회 개인전(1988) 때부터 이향미는 회화 화면을 좀더 주체적으로 다루고자 하였던 것 같다. 그러나 이후 작업이 어떻게 개진되었는지 남아 있는 작품이 많지 않아 아쉽게도 변화 양상에 대한 연구는 부족하다.

이명미(1950-)는 홍익대 서양화과를 졸업하고, 1970년대 초반부터 《앙데팡당전》(국립현대미술관, 1972-79), 《서울 현대미술제》(국립현대미술관, 1974-81), 《한국실험작가전》(대구백화점 화랑, 1974) 등에 적극 참여하며 현장과 긴밀하게 연결되어 활동을 시작했다. 《대구현대미술제》(1974)의 창립 멤버이자 최연소 여성미술가로 참여하였고 당시 회화씬을 주도한 단색화 흐름 속에서 이명미 역시 단색조의 개념적인 작업이나 앗상블라주 또는 다양한 실험적인 작품들에 몰두하였다. 그러나 1970년대 중반 이후부터는 논리나 개념을 강조하는 경향에 회의를 느끼고 감각과 직관에 따라 원색의 색채와 점, 선, 도형 등 화면에 유희적 요소를 과감하게 사용하는 회화로 탈바꿈 하였다. 첫 개인전 《놀이》(그로리치 화랑, 1977)에서부터 ‘놀이(play, game)’를 작품과 전시제목으로 사용하면서 이는 현재까지 그의 작업을 설명하는 핵심적인 단어다. 이명미가 활동을 시작한 1970년대 초중반 국내 회화씬은 색채와 형태를 자제하며 무채색의 화면에 한국적 정신성과 같은 관념적 의미를 부여하는 단색화가 지배적이었다. 그러나 이명미는 회화에 대해 지나친 관념을 부여하는 것을 경계하고, 원색계열의 선명한 색채, 단순한 점, 획, 숫자, 도형과 같은 기표로 화면을 유연하게 구성하는 회화를 선보였다. 천진난만하고 명료한 그의 회화 화면은 결과적으로는 동시대성을 확보하게끔 만들었다. 선명하면서도 자유로운 필치가 단순함 속에서도 성찰과 유머를 보여주는 역할을 했다.

이성휘 (하이트문화재단 큐레이터/미술평론가)

Works

Installation View

Publication Purchase Inquiry

Publication Name
Women, Abstraction, Experiment : HyangMi Lee, ChungJi Lee, MyungMi Lee
Quantity
Your Name
Phone Numb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