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IBI GALLERY presents PIBI_LINK with artists Eun Chun and Hyunsung Kim from August 19th to October 9th, 2021. The exhibition will bring together a young metal artist, Kim, forging a colorful artistic realm ranging from cutlery to large-scale furniture and objects, with photographer Eun Chun, an artist who captures synesthetic imagery within a photographic frame.
PIBI_LINK is a program that connects artists producing disparate works through a joint show, starting with the exhibition in 2018 of Seungil Chung and Taewoo Kim, who showed differing approaches and interpretations regarding gallery space. The second installment followed in 2020, inviting past and future artists of PIBI to participate with works stripped of any themes, genres, or restrictions.
Kim, who has been doing metal work in diverse areas applying modern approaches in design and form while adhering to traditional methods to produce tableware to furniture, has been familiar with metal since childhood growing up under his metalworker father. Becoming a metal artist after graduating from Hanyang University as a metal design major, he proceeded to earn Craft Trend Fair’s the Artist of the Year award in 2013. His early works involved making various forms of tableware in metal, creating a new style of tools by designing in detail dishes or cutlery depending on their use and function.
Focusing particularly on the warm feeling given off by copper, Kim created his signature piece, the copper coffee dripper, utilizing the high heat conductivity of the metal and its sensitivity to the external environment. He also attempted to experiment with the practicality and aesthetic impression of metal as a substance by using iron, tin, silver, and brass to create various tableware items as art pieces. In addition, by using a relatively simple-functioned candlestick, as opposed to the highly functional eating utensils and dishes, he explored various forms of design that went beyond the general. Later, Kim expanded his field of small and meticulous metalwork to include furniture, stylishly conveying his language of form by using the size of things and metal broadly expressed within a space.
On the other hand, Chun brings to the two-dimensional plane three-dimensional spatiality or the relating narrative thereof. Focusing on the situation and the environment saturating the subject, she leads viewers to naturally notice, through her resulting work, the synesthetic imagery that lies beyond the forms seen on the superficial surface.
In her early days, the artist strived to build a world of senses through people with sensory deficits, such as the visually or hearing impaired, or those like poly artists and amateur astrologists who are especially sensitive to a single sense, such as sound or sight. By launching a fundamental question regarding the act of seeing, Chun has been recording, by way of photographs, the process of overcoming and expanding the imperfect world of the subject. Later, the artist became more focused on the medium of photography, following the theme of things observed from the borderline between life and death, or the state of movement and stillness
In her Le repos incomplete (2017) series, she sought to capture the life embodied in seemingly static, inert objects through a story about the slab of material that becomes non-existent as the hands of the sculptor shape it, brought to completion with the senses of touch and sight. Following that, the artist has been profoundly addressing through diverse subject matters distinct narratives and the life and energy held by moments that have come into her perspective, as shown in the Epistolary (2018) series, a photographic record of static scenes she encountered during her trip to Vladivostok, Russia, taking in seasons as a spatial concept of sorts; the Floor (2018) series, where she captures through her lens the intensely nervous yet ambitious, aspiration-filled moments of gymnasts, right before the start of their routines; and You Must be Spring, a series about waiting in-progress, in which she has been taking scenic photographs of spring since 2014, the year of the tragic sinking of MV Sewol.
For this PIBI_LINK 2021, Chun captured a middle stage of Kim’s work process called the maquette with her camera. Before producing his actual piece, Kim first draws it and creates a maquette, a model, using a hardboard. It is the first step in a flat drawing being born into a three-dimensional structure. Unlike his finished work, this form outright reveals the substance material of the hardboard, which, through the lens of Chun’s camera, is returned to a leveled plane form to complete the formation of a new meaning. And through Chun’s two-dimensional reinterpretation of Kim’s three-dimensional progress stage, a temporal element of the flow of a process, though only momentarily, becomes enclosed in a photograph to demonstrate yet another kind of synesthesia. Chun photographed Kim’s work in process with the thought of “forms that solely touch the heart” in mind and inserted the artist’s name in the title in that context to express the connection between the two artists entirely.
PIBI_LINK 2021 will be significant in that the artists Chun and Kim will leave behind their distinctive work methods and exhibition formats to come together at PIBI GALLERY in a new joint venture that will surpass their past works.
About Artists
Hyunsung Kim (b. 1986) has graduated Hanyang University with a B.A. (2011) and M.A. (2013) in metal design. He has held a solo exhibition in 2016 at Sikijang following his first solo show Metal Craft (2014, Gallery AWON), and has participated in numerous group exhibitions, including Ancestral Rites for Modern Times (2018), Arumjigi, Delicious Design (2016), Keum Art Project, Munich, Germany, Typojanchi(2015), Culture Station Seoul 284, and Kitchen in Fantasy: Fissler 170th Anniversary Exhibition (2015), Horim Museum. He has also been involved in Amorepacific’s Osulloc Teaware product development and Maison & Objet (2012), Paris Nord Villepinte, Villepinte, France. Kim has been given Craft Trend Fair’s the Artist of the Year award (2013, Minister Priz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Yoolizzy Craft Museum’s Artist of the Year award (2016), and Onyang Museum’s Onyang Craft Contest Grand Prize (2019).
Eun Chun(b. 1977) holds M.F.A in photography at Université Paris VIII(2009), and B.A. in sculpture at Chung-Ang University(2002). She has held eight solo exhibitions including (2020, Gallery2, Seoul), (2019, SeMA Storage, Seoul Museum of Art), (2017, Amado Art Space), also she was participated in group exhibitions ncluding (2019,, Museum SAN), (2019, Total Museum of Contemporary Art), (2019, Chapter II), (2018, OCI Museum of Art). Chun was invited to 2020 Virtual Art Fair Abu Dhabi Art ‘Material-Real’ sector. She won the Excellence Prize at SongEun Art Award from SongEun Art and Cultural Foundation, Seoul, Korea(2018) and Amado Photography Award from Amado Art Space, Seoul, Korea(2017).
피비갤러리는 전명은, 김현성 작가와 함께 “PIBI_LINK 2021” 전시를 8월 19일부터 10월 9일까지 진행합니다. 이번 전시는 젊은 금속공예가로 커틀러리에서부터 규모가 큰 가구와 오브제까지 다채로운 작품 세계를 펼치고 있는 김현성 작가와 공감각적 심상을 사진이라는 평면에 담아내는 사진작가 전명은의 작업을 링크합니다.
피비갤러리는 서로 상이한 작업을 하는 두 작가를 연결하는 “PIBI_LINK” 프로그램을 기획하였는데, 첫 전시로 2018년 정승일, 김태우 작가가 갤러리 공간에 대한 서로 다른 접근과 해석을 보여주었다. 이후 2020년 “PIBI_LINK”를 두 번째로 개최하면서 그간 피비갤러리와 함께 했던 작가들 그리고 함께 할 작가들이 모두 참여해 주제와 장르의 제한없이 자유로운 작품들을 선보였다.
2021년 “PIBI_LINK” 전시는 스테인레스 스틸과 황동으로 제작한 가구를 선보이는 김현성과 오래된 작가의 오브제를 프레임에 담은 신작과 함께 김현성의 작품 제작 과정 중 일면을 사진으로 재해석한 전명은의 작업을 전시장에 담을 예정이다.
전통 공예 방식을 유지하면서도 디자인이나 조형적인 부분에서 현대적인 접근을 시도한 공예작업을 지속하며, 식도구부터 가구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영역을 다루고 있는 김현성은 세공사였던 아버지의 영향으로 유년시절부터 금속에 친숙한 환경에서 자랐다. 작가는 한양대 금속공예과에 진학 후 금속 공예가가 되어 2013년 공예트랜드페어에서 올해의 작가상을 수상했다. 그의 초기작업들은 다양한 형태의 식도구를 금속으로 다루는 것이었는데, 접시나 커트러리 등 쓰임과 용도에 따라 섬세하게 디자인하여 새로운 감각의 도구를 선보였다.
특히 작가는 구리가 주는 따스한 느낌에 주목하고 외부 환경에 민감한 재료적 특성과 높은 열전도율이라는 특징을 살려 ‘구리드리퍼’라는 대표적 작품을 만들기도 했다. 뿐만 아니라, 강철과 주석, 은과 놋쇠 등을 이용하여 각종 테이블웨어를 작품화 하면서 금속이라는 물질에 실용성과 심미성을 실험적으로 다루고자 했다. 또한 촛대 작업을 진행하며 기능성이 강한 식도구에 비해 단순한 기능을 가진 촛대로 일반적인 디자인 형태를 넘어서는 다양한 형상을 실험하기도 했다. 이후 작가는 작고 섬세한 금속공예의 영역을 가구로 확대하며 사물의 크기와 공간 속에서 확장되어 다뤄지는 금속을 통해 그만의 조형언어를 감각적으로 보여준다.
한편 전명은의 사진은 2차원의 평면 위로 3차원의 공간성 혹은 그 공간과 함께 흐르는 서사를 담고자 한다. 따라서 피사체가 응축하고 있을 상황과 그 환경에 몰두하며, 그러한 결과물들은 자연스레 눈에 보이는 표면적 형상을 너머 공감각적인 심상에 눈뜨도록 이끌어 준다.
작가는 작업 초기 청각장애인, 시각장애인 등 감각의 결여를 가진 사람들이나 폴리아티스트, 아마추어 천문가 등 소리나 시각 같은 특정한 감각에 예민한 사람들을 통해 감각 세계를 구축하고자 했다. 그리고 본다는 행위에 대한 근원적인 질문을 던지며 대상이 가진 불완전한 세계를 극복하고 확장시키는 과정을 사진으로 기록해왔다. 전명은의 작업은 이후 좀 더 사진이라는 매체에 집중하여 삶과 죽음 혹은 움직임과 멈춤 그 경계에서 바라보는 것들을 주제로 진행되었다.
2017년의 <누워있는 조각가의 시간> 시리즈는 지금은 사라지고 없는 조각가의 손길이 만들어낸 덩어리와 촉감 그리고 눈으로 완성되어가는 이야기로, 멈춰진 것 같던 사물에 깃든 생명력을 포착하고자 하였다. 이어서 작가는 계절을 일종의 공간적인 개념으로 받아들이고 겨울에 러시아 블라디보스톡을 여행하며 촬영한 정적인 상황을 그린 2018년<서간체>시리즈나 약동하기 직전, 떨리는 시간이면서 넘어선 시간을 꿈꾸는 체조선수를 담은 2018년 <플로어> 시리즈, 세월호 사건이 있던 2014년부터 봄 풍경을 담으며 시작된 기다림에 대한 <네가 봄이런가> 시리즈 등 다양한 소재를 통하여 작가의 시선이 닿은 순간이 품고 있는 고유의 내러티브와 생(生)을 깊이 있게 다루고 있다.
이번 “PIBI_LINK” 전시에서 전명은은 김현성의 작업 과정 중 중간 단계인 마케트(maquette)를 촬영했다. 김현성은 작품을 제작하기 전에 드로잉을 한 후에 하드보드를 이용해 마케트를 제작하는데, 완결된 작품에 앞서 평면의 드로잉이 입체적인 조형으로 탄생되는 첫 걸음이다. 이러한 작업은 김현성의 완성된 작품과 다르게 하드보드라는 재료의 물성이 고스란히 드러나는데, 이것은 전명은의 카메라 렌즈를 통해 다시 평면으로 귀결되어 새로운 의미의 완성을 이루어 낸다. 또한 김현성의 3차원이었던 입체 작업의 진행 단계가 전명은의 2차원으로 재해석 되면서 순간이지만 과정의 흐름이라는 시간성을 사진안에 담으며 또 다른 공감각을 연출하게 된다. 전명은은 특히 이 작업을 진행하며 “오롯이 마음에 기대는 형상들" 이라는 생각 속에서 김현성의 작업을 촬영했고, 제목도 그러한 맥락으로 작가의 이름을 넣어 두 사람의 교감을 온전히 보여준다.
피비갤러리의 2021 “PIBI_LINK”에서 전명은과 김현성은 각기 다른 작업방식과 전시 형태를 떠나 두 작가가 기존의 작업을 넘어서는 새로운 시도를 통한 호흡을 전시장에 펼친다는데 그 의의가 있을 것이다.
About Artists
김현성(b.1986)은 한양대학교 금속디자인학과에서 석사(2013)와 학사(2011)를 졸업했다. 첫 개인전인 ’다섯개의 상’(2014, 갤러리아원)에 이어 2016년 식기장(SIKIJANG)에서 개인전을 가졌으며, 아름지기에서 ‘가가례(家家): 집집마다 다른 제례의 풍경’(2018), 독일 뮌헨에서 ‘Keum Art Project’로 ‘Delicious Design’(2016), 문화역서울에서 ‘타이포잔치’(2015), 호림미술관에서 ‘Kitchen in fantasy -휘슬러 170주년 기념전시’(2015) 등의 단체전에 참여하였다. 또한 아모레퍼시픽의 ‘오설록 티웨어’ 상품개발에 참여하였고(2012), 프랑스 파리 Paris Nord Villepinte의 ‘Maison & Objet’(2012)에 참가하였다. 2013년 공예트렌드 페어 올해의 작가상(문화부 장관상), 2016년 유리지공예관에서 올해의 작가상, 2019년 온양민속박물관에서 온양공예열전 최우수상을 수상했다.
전명은(b.1977)은 파리8대학 사진과 석사(2009), 중앙대학교 조소과 학사(2002)를 졸업했다. ‘글라이더’(2020, 갤러리2), ‘플로어’(2019, 서울시립미술관 SeMA창고), ‘안내인’(2017, 아마도예술공간) 을 비롯해 8회의 개인전을 열었고, 뮤지엄 산에서 ‘낯선 시간의 산책자’(2019), 토탈미술관에서 ‘The Senses;과잉과 결핍 사이에서 호흡하다’(2019), 챕터 투 갤러리에서 ‘우리시대의 추상2’(2019) OCI미술관에서 ‘그리고 아무 말도 하지 않았다’(2018) 등 다수의 단체전에 참여하였다. 또한 2020년 아부다비아트페어의 ‘Materiak-Real’ 섹터에 참여하였고, 2019년 SeMA 신진미술인 전시지원에 선정, 2018년 송은문화재단에서 송은미술대상 우수상, 2017년 아마도예술공간에서 아마도사진상을 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