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IBI GALLERY presents Jonggeon Lee: Three pillars and a wall, its first show of the spring season. Known for his continued installation work involving deep contemplations regarding architecture and space, Lee is set to showcase sculpture and installation works that interpret the exhibit space of the PIBI GALLERY in a whole new way.
Drawing from his personal experience of growing up in both Korea and the U.S., Lee has been creating works that reflect his interest in the social and cultural context of time and space found in architectural structures, and the ways they are generally shared in personal spaces. His focus has been about pondering the cultural behavior of wanting to transplant indoors idealized versions of nature, or focusing on architectural buildings, such as residential ones, that become devoid of social context having applied to them foreign architectural styles that have no relating geological or cultural backgrounds. A recent work of his is about the functional and locational transformations of what was once the Belgium consulate, one of the Korean modern era buildings. Through his work as such, Lee explores space not as a fixed thing of immutability, but as a flexible place that is fluid and changes anew depending on the person occupying it.
His second solo exhibition with the PIBI GALLERY since the first show back in 2017, Lee will be focusing on the basic architectural elements of walls and pillars in this round, demonstrating his continued interest of “the properties of a changing space.” Using as motif the interior pillar of the gallery, the artist presents works that are essentially architectural elements – of walls, arches, and cylindrical pillars – under the title Three pillars and a wall. When viewing these works that show the familiar structure of architecture, the audience does not see the gallery as the usual white cube but comes to infer the unique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of that specific space. What is interesting to note is that the art works do not correspond with actual building structures or materials. In their original forms, the element wall either blocks or connects the interior and the exterior, and the pillar is meant to bear weight while forming a center at the same time. But the wall installed in the exhibition room is in the format of a wallpaper consisting of spreading flat and placing three pillars in an overlapping and repeating design, the surface of which – made of exterior walls (brick), bars (metal), and doors (wood) – while still visually retaining its materialistic qualities and textures, appears also merely as a simple geometrical setup due to its repetitive arrangement. As for the three pillars, one is the actual physical structure of the gallery that has been covered with wood veneer, thereby losing its unique feel of solidity; the second made of brick and with arches has hollowed out openings that has nothing to do with any structural function; and the last horizontal, cylindrical pillar all but a metallic frame, being far removed from the original function of a pillar. On the other hand, there are points of similarity in terms of form found in each of the exhibit pieces, in that the height of the arched windows of the wallpaper comes to be a third of the height of the gallery interior pillar, as well as being identical to the height of both the brick and metal pillars. The windows of the wallpaper serves as the standard unit for the works of this exhibition, connecting them altogether in odd ways, such as four times the width of the window measuring out to be exactly the circumference of the metal pillar, the brick pillar being composed of six identically tall pillars, and more. And while each of the pieces are produced using important materials in constructing architectural structures like wood, brick, and metal, they exist as thin and regular patterned things like wallpaper or wood veneer and put them at some obscure point between architecture and its surface. Each element is connected yet separated from one another.
In this exhibition, Lee, who has been exploring the architectural hybridism and the fluidity of space through the relationship between space and structure and object and space, is making concrete his continued investigation regarding his contemplations of space and architecture as open realms, using the most basic and essential architectural objects. Lee’s work is intrinsically about space, viewing culture as a thing of change to producing a part and connect it to the whole. Space once occupied by an individual along with their things is left with traces that linger on even after the occupant vacates it, while culture gives and takes from architecture with portions of it being transplanted into each element of the discipline. But just like the remnants of a house that are fragmented pieces of its structure and decorations, Lee duplicates and repeats to create a pattern, so that he may leave behind a trace. By presenting an obscure situation where material, form, and function are both connected yet not possibly linked, and where planes and three dimensional figures overlap one another, the artist is presenting questions about actual subjects and images, the exterior and the interior, and qualities of location and non-location, as well as asking the audience to move away from a fixed definition of space and structure, in order to reconsider their function and role. This exhibition will prove to be a meaningful opportunity to discover the true nature of Lee’s longtime reflection regarding the fluidity of space.
피비갤러리는 봄을 여는 첫 전시로 “이종건 개인전_세 개의 기둥과 하나의 벽”을 개최한다. 건축과 공간에 대한 깊이 있는 사유로 설치 작업을 지속해온 이종건 작가는 이번 전시에서 피비갤러리의 전시 공간을 새롭게 해석하는 조각, 설치 작품을 선보인다.
이종건 작가는 한국과 미국을 오가며 성장한 개인적 경험을 통해 시간과 공간이 가지는 사회적, 문화적 맥락을 건축물에서 발견하고 이들이 사적인 공간에서 보편적으로 공유되는 방식에 관심을 갖고 작업해왔다. 그는 이상화된 자연을 실내공간으로 이식하고자 했던 문화양식을 탐구하거나 지리적, 문화적 배경과 상관없이 타 문화권의 건축양식을 주택에 적용해 사회적 맥락을 이탈한 건축물에 주목하였으며 최근에는 한국근대건축물 중 하나인 구 벨기에 영사관의 기능적, 장소적 변화를 다룬 작업을 진행하기도 했다. 이종건은 이러한 작업을 통해 고정 불변한 것으로서의 공간이 아니라 그곳을 점유하는 사람에 따라 새롭게 변화하고 유동하는 유연한 장소로서의 공간을 탐구한다.
2017년 개인전 이후 피비갤러리에서 두 번째 개인전인 이번 전시에서 이종건은 벽과 기둥이라는 건축의 기본적 요소에 초점을 맞추고 그가 지속적으로 관심을 가져왔던 ‘가변하는 공간의 속성’을 보여주고자 한다. 작가는 갤러리 내에 위치한 기둥을 모티프로 벽, 아치, 원통형 기둥과 같은 건축적 요소로 치환한 작품을 ‘세 개의 기둥과 하나의 벽’ 이라는 제목으로 선보인다. 건축의 구조를 상기시키는 작품들은 갤러리 공간을 기존의 화이트 큐브가 아닌 이 공간의 특수한 건축적 특성을 유추하게 하는데 여기서 흥미로운 점은 전시작품이 실제 건축의 구조적 기능이나 재료와 일치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건축의 구성요소인 벽은 본래 내부와 외부를 단절하거나 연결시키고 기둥은 하중을 지탱하는 동시에 공간에 중심을 만들기도 하는데, 전시장에 설치된 벽은 세 개의 기둥을 펼치고 반복적으로 배치한 벽지로 되어 있으며, 벽지 표면에는 건물 외벽(벽돌), 창살(금속), 문짝(나무)의 재료적 속성과 질감이 시각적으로 남아 있으나 그 반복적인 배치로 인해 단순한 기하학적 구성으로 보이기도 한다. 또한 갤러리의 실제 구조인 기둥은 무늬목으로 덮여있어 특유의 견고함이 사라졌고 아치형태의 벽돌 기둥은 구조적 기능과 상관없이 문이 잘려져 있으며 옆으로 누워있는 원통형의 기둥은 금속의 뼈대만 남아있어 기둥의 본래적 기능과는 거리가 있다.
반면에 각각의 작품은 형태적으로 유사한 지점이 있는데, 벽지에 있는 아치형의 창문의 높이는 갤러리 내부 기둥을 세 개로 나눈 높이와 동일하고, 벽돌기둥, 금속기둥의 높이와도 같다. 벽지에 있는 아치형의 창문은 이번 전시 작품들의 기본 단위가 되며, 개별 작품의 높이뿐 만 아니라 창문 네 개의 폭과 금속기둥의 둘레가 동일하고 벽돌기둥은 같은 높이의 기둥 여섯 개로 구성되는 등 서로 미묘하게 연결되어 있다. 또한 각각의 작품은 건축의 구조를 세우는데 중요한 재료인 나무와 벽돌, 금속으로 제작되었지만 벽지와 무늬목 같이 얇고 일정한 패턴으로 존재해 건축과 그 표면의 모호한 지점에 위치하는 등 각 요소가 서로 연결되면서도 분리되어 있다.
공간과 구조, 오브제와 공간의 관계를 통해 건축적 혼종과 공간의 유동성을 탐구해온 이종건 작가는 이번 세 개의 기둥과 하나의 벽 전시에서 가장 기본적이고 본질적인 건축적 오브제를 통해 자신이 지속적으로 연구해온 열린 영역으로서의 공간과 건축에 대한 사유를 구체화하고 있다. 문화를 가변적인 것으로 생각하고 그 일부분을 재현해 전체로 연결시키는 이종건의 작업은 본질적으로 공간에 대한 것이다. 개인이 점유하는 공간에 개인의 물건들이 있고 사람이 떠나면 비어있으나 그 흔적은 남아 있고, 문화가 영향을 주고 받고 그 일부가 건축의 각 요소에 이식되지만 그 구조나 장식이 파편화되어 있는 집의 흔적들처럼 이종건은 복제하고 반복해 패턴을 만들어 그 흔적을 남긴다. 그리고 재료, 형태, 기능이 서로 연결되면서도 연결될 수 없고, 평면과 입체가 서로 중첩되어 있는 모호한 상태를 제시함으로서 실재 대상과 이미지, 외부와 내부, 장소성과 비장소성에 대한 물음을 던지며 고정된 의미의 공간과 구조에서 벗어나 그 기능과 역할을 재고하기를 요청한다. 이번 전시는 이종건 작가가 그 동안 연구해온 공간의 유동성에 대한 사유의 본질을 확인할 수 있는 의미 있는 시간이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