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un Chun : To the North Facing Window

2024. 04. 11 - 2024. 05. 25
Eun Chun : To the North Facing Window

Flickering Things 


Nestled in the house's most sun-drenched, breezy corner is an aged display case. Made of dark wood, it holds a variety of things - each distinct in shape and size, age and eras, texture and pattern - resting quietly in their respective places. It is unknown when or where they were born, what they were originally used for, or how they came to be here. And yet, they've often been handled with much care and love that they seem imbued with vitality, evidenced by their shimmering, polished luster. Eun Chun's photographs radiate a soft, yet deep shimmer that has been polished over time, much like the collections in the showcase. Presented in her solo exhibition at PIBI Gallery, « To the North Facing Window », Chun’s photographs traverse diverse timelines, from the newly photographed daffodils of this March to a glimpse into a scientist's lab from 12 years back, all converging into this one exhibition. 


When it comes to Chun’s works, it seems impossible or impractical to describe them in simple sentences or words. The daffodil, the earliest flower to bloom in spring; a deer-shaped candlestick that happened to catch her eye in the studio; fireflies emitting light to find their mates; and facial sculptures made of clay by visually impaired children... When listing the subjects of the artist's photographs in words, it is often difficult to find a specific connection among them, or they seem rather unrelated. Furthermore, the way in which interests cascade from one subject to another, the personal history behind each scene, how the narrative of the shooting process brings the work closer to the viewer, and the overwhelming delicacy of the seemingly serene images when encountered in print are hallmarks of Eun Chun's photography that render logical explanations challenging.


This text has two goals: first, to talk about the tenderness of photography, which is a very prominent theme in this exhibition, and second, to explain the light that the artist constantly speaks about through various motifs. First of all, the tenderness of photography does not refer to the fact that it formally deals with tender subjects such as flowers, children, plants, birds, and cats, or to the softness of the overall colors and textures. It is the tenderness of the gaze that searches and looks, believing that small and fragile entities are equally intense and powerful, much like the vitality of a midsummer’s day. Throughout her work, the artist has been fascinated by objects that are inherently faint or tapered, revealing their textured forms and imperfect vivacity of life. Every flicker of a firefly, flutter of a butterfly's wings, scattering of jellyfish and snowflakes, and even a simple hand of an antiquated clock designed to point in the direction of light have become objects of tender gaze for the artist.


In the same vein, the word ‘North’ in « To the North Facing Window », which captures the overall theme, refers to the direction and place where there is less sunlight and lower temperatures, and the state of waiting for warmth that has not yet arrived. In this way, the tenderness of Chun's photographs is associated with remaining solitary, waiting for the sunlight to emerge slowly instead of a shadow casting the dark. And in Chun’s photographs, the light-bathed entities are sending flickering signals evidencing their vitality, outside of the frame. 



From the Light of the South


In fact, the tenderness is intertwined with light. Because it is light that points to the way Chun depicts or addresses these living things, things endowed with their specialness. Large and small luminous objects, spaces bathed in projection, and the essence of light struggling to emerge from confinement become more apparently visible in Chun's photographs. Importantly, the light she captures spills onto things that might otherwise go unnoticed, dismissed as inconsequential or ordinary. From candlelight illuminating a dark room in a circle, to the color temperature of living things detected by an infrared camera, to the beams of light imprinted on film... Chun brings out the most radiant aspects of what we might think of when we hear the word ‘light’.


On the premise of condensing a great deal, we can categorize the light featuring in Chun's works as scientific light, literary light, and visual light. First and foremost, scientific light is when the artist centers on light in its physical context, i.e., with light being at the fore, as a type of electromagnetic wave emitted by the sun or hot materials. In her previous series, (2011-2012), the artist met with amateur astronomers, referencing their astronomical photographs and photographing their instruments. (2012) was shot during a similar time period to the above series, and captures the eponymous phenomenon, which occurs once every 105 years when the Earth, Venus, and the Sun line up and Venus is visible above the solar plane. For Chun, scientific light is a cosmic light that arrives from an invisible and distant place, a concept that includes the minds of those who observe and wait for it seriously. Meanwhile, the machine in (2024) is the invention of electronics engineer Song Jaewon. Chun and Song, who have bonded through their past work, happened to have a conversation about a machine that transmits light from the south window to the north window, and that sparked the creation of the work.  


For Chun, light is also the state or existence of being alive, the vital energy of nature and things. In the petite camellia blossoms and red berries, the sunlit leaves of begonia conchifolia, the face of a child, the back of a painter, and a night landscape, Chun sees the radiance emanating from living things. It is for this reason that we can somehow read the shape of the familiar snow crystals in (2023) and the image of light that she would have pursued in the jellyfish's swimming in (2024). Not only that, the artist senses vitality in the objects imbued with human affection, but also in the afterimage of a ship passing over a field of daffodils in Geojedo. In this way, Chun's photographs are in touch with the fundamental life that changes with the seasons and the weather, that appears from nowhere and then disappears, that seems to be taken for granted but whose death is inevitable. And this tendency of implied and symbolic life is what I would like to call literary light.


Finally, Chun explores visual light through photography. Here, I am referring to the direct or indirect presence of visually impaired people in her work.  Since around 2012, the artist has been constantly working on projects with the blind, meeting students at schools for the visually impaired, and observing people living in a different sensory world. In various works since then, she has used the faces and bodies of blind people, guide dogs and the blind, pets and the blind, etc. as part of her work. What I would like to emphasize is that in these works dealing with the visually impaired, Chun is not focused on "disability" per se but is interested in juxtaposing the visual system of photography with other ways of seeing the world that are less obvious and more subtle. In the series (2024), featuring photographs of clay sculptures made by students at the Seoul National School for the Blind, Chun superimposes her gaze in close-up over faces that the children have never seen or only glimpsed and their eyes, nose and mouth created by sensation and imagination. In dealing with visual light, Chun's light is predicated on darkness. And in this mutually inevitable relationship between light and darkness, she finds beauty that paradoxically becomes more intense and solid.


For Chun, photography is about printing off the screen to make the moment of the camera shutter last as long as possible. The process of finding the source material, the time leading up to the shot, and the subsequent story that surrounds the image are key to understanding Chun's work. In this exhibition, Chun seems to be more relaxed on the technical side. The photographs in the exhibition are hung without frames, and some of the images are taken with film cameras, where the results of the shot are not immediately available, to incorporate spontaneity and serendipity into the images. The artist seems to have focused on the intrinsic joy of photography, which is to capture the scene she wants to capture, to go where the subject is, to wait for and encounter a special moment, and to share it with others. Through the works in « To the North Facing Window », where the sunlight outside the window seems to be condensing on the wall, I hope to embrace the warmth that Chun brings without hesitation and direct it to every cold part of your being.


Heeseung Choi (Independent Curator)



깜박이는 것들


집안에서 바람이 가장 잘 드나들고, 볕이 적당히 좋은 장소에 자리 잡은 오래된 진열장. 짙은 색의 나무로 만들어진 진열장 안에는 서로 다른 모양과 크기, 나이와 시간, 피부와 입자를 지닌 것들이 각자의 자리에 가만히 놓여있다. 언제, 어디서 태어난 것인지, 애초의 쓰임은 무엇이었고 어떻게 여기까지 오게 되었는지 알 수 없지만, 다들 자주 어루만져지고 중요하게 대해져 마치 생명을 지닌 듯, 매끄럽게 윤이 흐르는 모습이다. 전명은의 사진에는 진열장 안의 수집된 물건들처럼 오랜 시간 매만져진 부드럽고 깊게 빛나는 반짝임이 있다. 피비 갤러리에서의 개인전 <<북쪽창문으로>>에서 선보이는 사진은 전명은이 올해 3월에 갓 촬영한 수선화부터 12년 전  찍었던 과학자의 연구실에 이르기까지 서로 다른 시간대를 지닌 것으로, 이번 전시를 통해 한자리에서 꺼내 보인다.  


이렇게 모아보는 전명은의 작품에 대해 명료한 문장이나 단어로 설명하는 것은 그의 작품을 설명하는 데 도움이 되지 않거나 불가능한 일인 것 같다. 봄에 가장 빨리 피는 꽃인 수선화, 작업실에서 우연히 눈에 들어온 사슴 모양 촛대, 짝을 찾기 위해 빛을 보내는 반딧불이, 시각장애인 아이들이 점토로 만든 얼굴 조각들……작가가 사진의 소재로 다루고 있는 것들을 말로써 나열해 보면 서로 특정한 연관성을 찾기 어렵거나 관계가 없는 것처럼 보이기도 한다. 여기에 덧붙여 한 주제에서 다른 주제로 관심사가 꼬리를 물며 이어지는 방식이나 각각의 장면에 얽힌 개인사, 촬영 과정에서 발생한 내러티브를 접할 때 작품을 더 가까이 이해할 수 있는 점, 고요해 보이다가도 프린트로 만났을 때 느껴지는 이미지의 압도적인 섬세함 등이 전명은 사진의 특징이자 논리적인 설명을 어렵게 만드는 지점으로도 볼 수 있을 것이다.  


이 글에는 두 가지 목표가 있는데 하나는 이번 전시에서 유난히 두드러진 전명은 사진의 다정함에 대해 말해보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그가 다양한 소재를 통해 꾸준히 말하고 있는 빛에 대해 설명하는 것이다. 우선 사진의 다정함이란 형식적으로 꽃이나 어린아이, 식물, 새, 고양이 등 온화한 소재를 다루는 사실이나 전반적인 색감과 질감이 지닌 부드러움을 일컫는 것은 아니다. 그것은 한여름이 지닌 생명력과 마찬가지로 작고 미약한 실체들 또한 뜨겁고 강하다고 믿으며, 찾고 바라보는 시선의 다정함이다. 그동안 작가는 태생적으로 희미하거나 가늘어져 결이 드러난 형태, 불완전한 생명력 등에 매료되어 그 대상들을 좇아왔다. 반딧불이의 깜박임, 나비의 날갯짓, 흩날리는 해파리와 눈꽃들, 빛이 들어오는 방향을 가리키도록 고안된 낡은 시계 시침 하나까지 모두 작가에게는 다정한 바라봄의 객체가 되었다. 


위와 같은 맥락에서 전체적인 주제를 담고 있는 단어인 «북쪽 창문으로»에서의  ‘북쪽’은 해가 적게 들어 기온이 낮은 방향이자 장소이며, 아직 도착하지 않은 온기를 기다리는 상태를 표현한 것이다. 이와 같이 전명은의 사진이 지니는 다정함이란 응달의 그림자 대신 천천히 드리워질 햇살을 기다리는 초연함과 맞닿아 있다. 그리고 이러한 작가의 사진 속에서 빛을 입은 개체들은 살아있음을 증명하는 신호를 화면 밖 먼 곳까지 깜박임을 보낸다. 



남쪽의 빛으로부터 


사실 그의 다정함은 빛과 연결되어 있다. 전명은이 살아있는 것, 특별함을 부여한 것들을 설명하거나 대하는 방식을 빛이 가리키고 있기 때문이다. 크고 작은 빛을 발하는 개체나 투영된 장소, 차단된 상태에서 애써 돋아나는 빛의 성질이 사진을 통해 더욱 선명히 드러난다. 중요한 것은 그가 담아내는 빛은 사소하거나 평범해서 눈길이 닿지 않았던 것들 위로 쏟아지고 있다는 점이다. 어두운 방 안을 동그랗게 밝히는 촛불에서부터 적외선 카메라가 감지하는 살아있는 것의 색온도, 필름에 상을 입히는 광선 등 우리가 빛이라는 단어를 듣고 떠올릴 수 있는 것들로부터 작가는 밝은 부분을 끄집어낸다. 


많은 부분을 압축한다는 전제 아래에서 전명은이 작업을 통해 다루고 있는 빛을 과학적인 빛, 문학적인 빛, 시각적인 빛으로 분류해 볼 수 있을 것이다. 가장 먼저 과학적인 빛이란 그가 물리적인 의미로서의 빛, 즉 태양이나 고온의 물질이 내보내는 전자기파의 일종으로서의 빛을 중심에 두는 경우이다. 전작인 <사진은 학자의 망막>(2011-2012) 시리즈에서 작가는 아마추어 천문학자들을 만나 그들의 천문 사진을 인용하고 천문기기를 찍었다. <금성태양면통과, 2012년 6월 6일>(2012)은 위의 시리즈와 비슷한 시기에 촬영한 것인데,  105년에 한번 관측할 수 있는 지구와 금성과 태양이 일직선을 이루며 태양면 위에 금성이 보이는 동명의 현상을 담아낸 것이다. 전명은에게 과학적인 빛이란 보이지 않는 먼 곳으로부터 도착한 우주의 빛이자 그것을 진지하게 관찰하고 기다리는 사람들의 마음을 포함하고 있는 개념인 것이다. 한편 <북쪽창문으로>(2024)의 기계는 전자공학자 송재원의 발명품이다. 과거 작업을 통해 인연을 맺은 송재원과 작가는 우연히 남쪽 창문의 빛을 북쪽 창문으로 전달하는 기계에 관한 대화를 나누었고, 그것이 제작의 계기가 되었다.  


전명은에게 빛이란 살아 있는 상태나 존재, 자연과 사물이 지닌 생동의 기운을 뜻하기도 한다. 조그맣게 핀 동백꽃과 빨간 열매, 햇살을 투과시키는 베고니아 콘치폴리아의 이파리, 아이의 얼굴과 화가의 뒷모습, 밤 풍경 등에서 그는 살아있는 것들이 내뿜고 있는 밝음을 본다. <풍경은 멀어서 소리가 없다(겨울)>(2023)에서 보이는 익숙한 눈 결정의 모양과  <무제 (에피라 #2)>(2024)의 해파리의 유영에서 어쩐지 그가 좇았을 빛의 생김새를 읽어낼 수 있는 것은 이와 같은 이유에서 비롯된다. 그뿐만 아니라 사람의 애정이 깃든 오브제들로부터, 거제도 수선화 밭 너머로 배가 지나가며 그리는 잔상에서도 그는 생명을 감지한다. 이처럼 전명은의 사진은 계절에 따라, 날씨에 따라 시시각각 변화하는, 어디에선가 나타났다가 이내 사라지는, 당연하게 주어진 것 같다가도 죽음을 피할 수 없는 근원적인 삶과 닿아있다. 그리고 이러한 살아있음에 대한 함축적, 상징적인 경향을 두고 문학적인 빛으로 불러보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전명은은 사진으로 시각적인 빛을 다룬다. 여기에서는 시각장애인이 직, 간접적으로 작업에 등장하는 경우를 예로 들 수 있을 것이다.  2012년 경부터 작가는 지속적으로 시각장애인과 함께 프로젝트를 진행하거나 맹학교 학생들을 만나며 다른 감각 세계를 살고 있는 사람들을 지켜보았다. 이후 다양한 작품 속에서 시각장애인를 가진 사람의 얼굴이나 신체, 시각장애인과 안내견, 반려동물과 시각장애인 등을 작업의 대상으로 삼았다. 강조하고 싶은 것은 이러한 시각장애인을 다루는 작업에서 작가는 ‘장애’에 주목하는 것이 아니라, 뚜렷하지 않고 미약하게 세상을 보는 다른 방식과 사진의 시각 체계를 나란히 두는 일에 관심을 지니고 있다는 사실이다. 서울맹학교 학생들이 만든 점토 조각을 촬영한 <질문하는 사람들>(2024) 시리즈에서 본 적 없거나 아주 옅게 보았을 얼굴, 감각과 상상으로 만든 아이들의 눈코입 위에 전명은은 클로즈업으로 자신의 시선을 덧입힌다. 시각적인 빛을 다룰 때 전명은의 빛에는 어둠이 전제가 된다. 그리고 이러한 빛과 어둠의 상호 필연적인 관계에서 역설적으로 더욱 단단해지는 아름다움을 발견하는 것이다. 


전명은에게 사진은 카메라 셔터가 작동하는 짧은 순간을 최대한 길게 보여주기 위해 스크린 바깥으로 출력해 내는 일과도 같다. 사진의 소재를 찾고, 촬영까지의 시간과 이후의 이미지를 둘러싼 이야기를 이어가는 과정이 그의 사진을 이해하기 위한 중요한 요소가 된다. 한편 이번 전시에서 그는 기술적인 측면에서 한층 여유로워진 모습이다. 몸체를 가볍게 유지할 수 있도록 전시장의 사진들을 프레임 없이 걸었고, 일부 사진은 촬영의 결과물을 곧바로 확인할 수 없는 필름 카메라를 사용하여 이미지에 즉흥성과 우연성을 포함시켰다. 찍고 싶은 장면을 담는 것, 다시 말해 피사체가 있는 곳으로 가서, 특별한 순간을 기다리고 만나는 것, 그것을 타인과 나누는 본질적인 사진의 즐거움에 집중한 것으로 보인다. 마치 창 너머의 햇살이 벽에 맺힌 것 같은 «북쪽 창문으로»의 작품들을 통해 전명은이 데려온 온기를 주저 없이 마주하고 나의 서늘한 곳곳으로 보내는 기회가 되기를 바란다.


최희승 (독립큐레이터)


Works

Installation View

Publication Purchase Inquiry

Publication Name
Eun Chun : To the North Facing Window
Quantity
Your Name
Phone Numb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