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yungmi Lee : I am a person

2021. 03. 18 - 2021. 05. 08
Myungmi Lee : I am a person

PIBI GALLERY presents the first solo exhibition of Myungmi Lee titled ‘I am a person’ from March 18th to May 8th. She is a one of the first-generation female artists in Korean contemporary art, who, through endless contemplations, has produced uplifting, energy-filled paintings over the span of forty years. Beginning from the 1970’s, she has been building her own sense of style within the Korean art world through her uninhibited use of primary colors and paintings that range from figurative to abstract. PIBI GALLERY has put together this exhibition as a way for audiences to profoundly understand the artistic realm of the artist Lee.


When Lee began her career as a serous artist in the 1970’s, it was a time when conceptual art was dominating the Korean art scene and when aspirations for experimental avant-garde art were running high. Rather than let herself be carried away by dominant currents, she went on to broaden her horizons based on her own distinct painting style. Her early works submitted as a promoter of the 1974 Daegu Contemporary Art Festival, considered by many to be the major pivotal point in Korean contemporary art history, were conceptual and minimal in nature, but later she began to produce colorful and bright, both figurative and abstract works that rebelled against the ascetic mood of the time. Lee experimented with new painting styles by using cloth, paper and other various mediums besides canvas, moving away from aesthetic conventions in an attempt to regard her work as a series of play as well as a place for healing and making connections.


Lee takes things of everyday life that are familiar and easily accessible as subjects of her work, such as cups, chairs, flowers, plant pots, animals, and people. Rather than attributing individual meaning to each of them, she captures the essence of their forms on surface in bold, primary colors while disregarding perspective or gravity. Shape, color, and even such factors like letters on surface are brought into the equation as things of play for the artist, the process of which add meaning. The use of light, easily-drying acrylic paint gives texture to the floating images, allowing them to colorfully and rhythmically exist on canvas, and her choice of vivid colors and unrestrained brushstrokes add weight – to what could possibly have come across as being frivolous – expressing an intuitive yet balanced composition of beauty. The end result of all of this are paintings that exude a sense of release, exploding with the perspective of the artist.


From the 1970’s, objects begin to appear in Lee’s paintings like patchworks, stiches, stickers, and collection figures. Coming into the 2000’s she borrows not only from simple words, but from lyrics of popular songs, poems, and at times even from bible verses, serving as a kind of an emotion code of sorts to knock on the hearts of audiences. For example, viewers will recall the familiar melody as soon as they understand the meaning of the written lyrics on the painting, thus creating a visual and auditory multi-sensory canvas that transforms the painting into a communication medium. Through such a process, painting, as a thing of play, acts as both a self-healing mechanism and an energy source for a happy life for the painter, while the audience experience it as a moment of conversation where they can discover hidden organic interpretations and revel in the resulting fun on their own accord. 


Meanwhile, while Lee may have started producing serious art work coming through the modernism period, that did not stop her from boldly shedding past conventional painting techniques and adopting other diverse methods such as drawing lines, stamping dots, and letting paint be absorbed or freely drip down. The images, linguistic symbols, and the harmonious-coming-together of stylish colors all laid out across the canvas were in fact her free spirited improvisations heading towards the direction of post-modernism. Through the differing brush techniques – returned to being the basic element of painting – that either remain concurrently within the canvas frame or create meaning with rhythmical dynamics inside the artist-specified combination, you could say Lee’s paintings have managed to simultaneously achieve not only the primal value of paintings but also both symbolism and the room for that were excluded by abstract paintings.


Together with the artist, PIBI GALLERY has put much thought into bringing to audiences Lee’s first solo exhibition in a format that will focus on the uninhibited and open style that has been steadily present in her works, thereby accentuating such concepts of the artist even more. So in I am a person, we will see Lee’s impromptu drawings covering an entire wall of the gallery. This exhibition will hold meaning in its attempt to summarize Lee’s artistic realm, showing in its entirety her essence and colorful inner world as an artist. It is our hope that the show will, just as its title suggests, be able to brilliantly demonstrate Lee’s uniqueness by illuminating the creative world of her as an individual person and an independent person.


Myungmi Lee was born in Daegu, and studied painting as an undergraduate and graduate student respectively at Hongik University. Lee had her first solo exhibition in 1977 at Grorich Gallery and went on to hold many more at various spaces including Tokyo Gallery(1993, Tokyo), Wooson Gallery(2020), Daegu Art Museum(2015), Indang Museum(2019), Gallery Shila(1996, 1997, 2002, 2018) and more. She was introduced as one of Korea’s avant-garde artists at ‘the Renegades in Resistance and Challenge’ exhibition(2018) at the Daegu Art Museum along with Kim Ku-Lim, Lee Kun-Young, Lee Seung-Teak and Lee Kang-So, and participated in many group exhibitions of avant-garde art that formed the basis for the birth of Korean contemporary art, including ‘The 1970’s of revival and the memory’, GangJeong Daegu Contemporary Art(2013), ‘Busan International Art Festival’, Busan Museum of Art(1998), ‘88 Korean Contemporary Art’(1988), Italy, ‘Korean Contemporary Art-Trend of 80's’, Kyoto Museum of Art(1987), and more.

Lee’s works adorn the walls of various institutions and enterprise buildings including the National Museum of Contemporary Art, Gwacheon, Daegu Art Museum, Daegu, Daegu Bank, Daegu, Daegu Culture and Arts Center, Daegu, Jung-gu District Office Daegu Metropolitan City, Daegu, Korea Institute of Machine & Materials, Daejeon, POSCO, Seoul, Hongik University Museum, Seoul, Busan Museum of Art, Busan, Hyundai Heavy Industries Co., Ltd., Ulsan, and more.



피비갤러리는 3월 18일부터 5월 8일까지 이명미의 첫 개인전 을 개최한다. 이명미는 1970년대 작품 활동을 시작한 이래 ‘회화’라는 장르를 끊임없이 고민하며 밝고 에너지 충만한 작품들을 개진해온 한국현대미술 1세대 여성작가이다. 특히 작품 초기부터 자유로운 원색의 사용과 구상과 추상을 아우르는 회화로 한국 화단에서 독자적인 작품의 결을 구축해왔다. 피비갤러리는 이번 첫 전시에서 이명미의 예술세계를 집약적으로 이해하는 데 초점을 맞추었다. 


이명미가 작품활동을 시작했던 1970년대 한국미술계는 개념미술이 대두되었고 실험적인 전위 미술이 뜨겁게 불타올랐는데, 작가는 이러한 시대의 흐름 속에서 주류에 편승하기 보다는 독특한 회화 의지를 가지고 자신만의 지평을 넓혀 왔다. 한국 현대미술사의 주요한 전환점으로 인식되는 1974년 대구 현대미술제 발기인으로 참여한 그녀의 초기작은 개념적이고 미니멀한 모습이었으나 이후 컬러풀하고 유쾌한, 구상과 추상을 넘나드는 회화로 당시의 금욕적인 분위기에 저항하는 작품들을 전개했다. 이명미는 캔버스 작업뿐 아니라, 천, 종이 등 다양한 재료를 이용해 새로운 회화형식을 실험하고자 했으며, 기존의 미학적 관습에서 벗어나 작업을 일련의 놀이이자 치유 그리고 소통의 장으로 만들어 갔다.


작가의 작업 소재들은 주변에서 친근하게 접할 수 있는 컵, 의자, 꽃, 화분, 동물, 사람 등 일상적이고 쉽게 발견 되어 지는 것들이다. 이명미는 각각의 소재에 의미를 담기 보다는 먼저 그 형상의 본질을 포착하고 강렬한 원색을 사용하여 원근법이나 중력을 무시한 평면의 모습으로 그려낸다. 또한 형상, 색채 심지어 화면 위에 쓰인 문자언어까지 작가에게는 일종의 유희적인 대상으로서 그 조합 과정에 의미가 더해진다. 이때 가볍고 쉬이 마르면서도 화면에 질감을 부여하는 아크릴 물감의 물성은 화면 위에 부유하는 이미지들이 컬러풀하고 리드미컬하게 자리하게끔 하며, 강렬한 색감과 자유로운 붓질은 자칫 가볍게만 느껴질 수 있는 화면에 무게감을 더하며 직관적이면서도 균형 잡힌 미의 구성을 보여준다. 또한 이렇게 어우러진 화면은 어떤 해방감을 드러내는 창구로서 작가의 시선이 가득하다. 


이명미의 회화는 1970년대부터 패치워크나 스티치, 스티커, 피규어 같은 오브제가 등장하기 시작한다. 이후 2000년대에 들어서면 단순한 단어 뿐 아니라 유행가 가사, 시, 때로는 성경구절까지 인용되며, 이것은 곧 관람자들의 심상을 두드리는 일종의 감성 코드가 되기도 한다. 예를 들어, 캔버스 위에 써 내려간 가사는 문장의 뜻을 이해함과 동시에 우리가 알던 멜로디가 떠오르게 하며 시각과 청각이라는 공감각적 화면을 연출하면서 회화를 소통의 장으로 만들기도 한다. 이러한 작업 과정을 통해 작가는 그리기라는 유희가 자기치유의 역할을 하면서 즐거운 삶의 에너지원으로 작용하게 되고, 이를 보는 관람자는 숨바꼭질을 하듯 발견하는 입체적인 해석과 그로 인한 재미를 주체적으로 경험하는 대화의 시간을 체험하게 된다. 


한편 작가는 모더니즘의 시간을 통과하며 작품활동을 시작했지만, 선을 긋고, 점을 찍고, 물감을 화면에 스며들게 하거나 흘러내리게 하는 등 다채로운 방법들을 통해 과거 회화의 관습적 형식을 과감하게 벗어 던졌다. 그리고 화면 위에 드리워진 이미지와 언어기호 그리고 감각적인 색채의 어우러짐은 포스트모더니즘으로 향하는 자유로운 변주로 자리했다. 따라서 회화의 근원적인 요소로서 환원된 필법들이 화면 안에 동시에 머물거나 작가가 선택한 조합 속에 리드미컬한 역동성을 가지고 의미를 생산하면서 이명미의 회화는 회화의 원초적 가치와 추상회화가 배제했던 상상의 여백 그리고 상징성을 동시에 갖게 되었다고 볼 수 있다.


피비갤러리는 이명미의 첫 개인전을 준비하면서 그 동안 그녀의 회화가 내포하고 있었던 일관된 주제로서의 자유로운 성격과 개방성 등에 주목해 그러한 작가의 개념이 더욱 강조될 수 있는 전시형태를 작가와 함께 고민해 왔다. 그리고 이번 전시 에서는 갤러리 한 벽면 가득 작가의 즉흥적인 드로잉을 선보이게 되었다. 본 전시는 이명미라는 화가의 본질과 내면의 색들이 한 눈에 펼쳐지는 현장으로서 그녀의 작업 세계를 요약해 보여주고자 하는데 그 의의를 가질 것이다. 이라는 전시 제목처럼 개별의 사람이자 독립된 작가로서 빛나는 이명미의 작품세계를 조망하는 시간을 통해 작가의 작품이 그려내는 특유의 개성이 더욱 가치 있게 발현되길 기대한다.


About Artist

이명미는 1950년 대구 출생으로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및 동 대학원을 졸업하였다. 1977년 그로리치 화랑에서의 첫 개인전 이후 인공갤러리(1987), 동경화랑(1993, 도쿄), 신라갤러리(1996, 1997, 2002, 2018), 대구미술관(2015), 인당미술관(2019), 우손갤러리(2020)  등 다수의 미술관 및 갤러리에서 개인전을 가졌다. 2018년 대구미술관의 ‘저항과 도전의 이단아들’ 전시에서는 김구림, 이건용, 이승택, 이강소 등과 함께 한국의 아방가르드 작가로 소개되었으며, 대구현대미술제 ‘1970년대, 그 기억의 재생과 해석’(2013), 부산시립미술관 ‘부산국제아트페스티발’(1998), 이탈리아에서 선보인 ’88 한국현대미술전’(1988, 로마), 교토시립미술관 ‘한국현대미술-80년의 정황’(1987) 등 한국현대미술 태동기를 형성했던 아방가르드 미술을 소개하는 다수의 그룹전에 참여하였다.


이명미의 작업은 국립현대미술관(과천), 대구미술관, 대구은행, 대구문화예술회관, 대구 중구청, 한국기계연구원, 포스코, 홍익대학교 박물관, 부산시립미술관, 현대중공업 등 다수의 기관 및 기업에 소장되어 있다.  


Works

Installation View

Publication Purchase Inquiry

Publication Name
Myungmi Lee : I am a person
Quantity
Your Name
Phone Number